본문 바로가기

Art view

렉처 퍼포먼스의 미학적 잠재성과 기억의 재연(reenactment)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50281 

 

렉처 퍼포먼스의 미학적 잠재성과 기억의 재연(reenactment)

예술과 예술의 경계, 학문과 학문의 경계, 심지어 예술과 학문의 경계까지 흐려지는 가운데, 최근 ‘렉처 식의 학문적 연구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차용해 ‘퍼포먼스의 차원’에서 실천하는 공

www.kci.go.kr

렉처 퍼포먼스의 미학적 잠재성과 기억의 재연(reenactment)*

1. 서론

2. ‘ ’ 렉처를 퍼포먼스 하다

2.1. 예술의 언어로 수행되는 학술적 탐구 감각을 넘어 인식의 확장으로 :

2.2. 담론에 틈내기 증명의 퍼포먼스 ,

2.3. 렉처 퍼포먼스의 내러티브 에서 으로 : story telling

3. 기억과 렉처 퍼포먼스 기억 담론에 대한 탐구의 퍼포먼스 :

3.1. (Dis-kurse) 21 기억 담론 과 세기 문화적 재연의 방식

3.2. 기억을 렉처 퍼포먼스하기 기억의 탐구 문제의 공론화 / : ,

4. 결론 국문초록 예술과 예술의 경계 학문과 학문의 경계 심지어 예술과 학문의 경계 , , 까지 흐려지는 가운데 최근 렉처 식의 학문적 연구방법론 을 적극적으 , ‘ ’ 로 차용해 퍼포먼스의 차원 에서 실천하는 공연들이 부쩍 증가하고 있 ‘ ’ 다

 

퍼포먼스 아트의 역사가 짧지 않은데다가 특정 작가와 작품 연극미 . , , 학에 대한 학술적 연구 혹은 하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 * 이 논문은 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19 (NRF-2019S1A5B5A07093464)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강사 http://dx.doi.org/10.18396/ktsa.2020.1.76.004 여러 연관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하는 일명 다큐멘터리적 조사연구 방법 등은 공연예술 안에서 이미 상당한 정도로 보편화된 부분이다.

 

그런 점 에서 최근 렉처 퍼포먼스의 행보 역시 퍼포먼스 아트 혹은 다큐멘터리 연극의 또 다른 연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 본 논문은 렉처 퍼포먼스 를 특정 예술장르나 퍼포먼스 아트의 연장으로서만이 아니라, 정치와 경 제 및 각종 사회적 현안을 아우르는 초담론적 방법론 차원에서 직접적 으로 검토하는 독자적 탐구행위이자 정치적 행위로 제시하고자 한다.

 

21 세기 이후 여전히 기억의 문제가 중요한 상황에서 이를 무대에서 탐구 하고 공론화한 렉처 퍼포먼스의 사례를 통해 예술적 , 실천이자 정치사회 적 실천으로서의 렉처 퍼포먼스 미학의 잠재성을 실천적 차원에서 확인 하고자 한다. 주제어 : , , , , 렉처 퍼포먼스 이야기하기 감각적 인식 기억 재연

KCI_FI002650281.pdf
1.07MB